본문 바로가기

TIL10

TIL 섹션2 회고록 사실 뭘 배웠는지 제대로 곱씹기 전에 빠르게 시간은 지나갔다. 벌써 섹션3를 진행하고 있는중이고, 어찌저찌 HA 2를 통과하여 섹션3로 접어들게 되었다. 초창기엔 정말 꾸준하게 블로깅하고, 뭐했는지 곱씹어보고 했는데, 지금은 하루하루 배운 내용을 어디에 활용하고 어떻게 사용할까에 대한 고민으로 가득찬 하루를 보내고 있다. 그나마 1년 정도 배워봐서 따라가긴 따라가는데 비전공자 분들은 어떻게 이 내용을 따라가면서 블로깅도하시고 그렇게 잘 하시는지 놀랍다. 뭔가 Toy 문제를 풀때는 예전에 풀어보거나,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을 아는데 불구하고 문제를 읽다보면 요즘 머릿속이 리셋된다. 그래도 즐거웠다. 목표로 하는 Front-End 에 한 걸음 더 다가간것같고 섹션3부터는 Back-End 에 집중된 내용이지만 .. 2021. 6. 16.
TIL 4일차 1) 오늘 배운 것 오늘은 페어 활동을 하루종일 진행하면서 Express 서버를 사용을 하는 법을 계속 숙지하였다. 2일만에 조금 까먹었었지만 그래도 기억을 더듬거리며 찾으니 어떻게든 성공해서 과제를 제출하였다. 2) 알고리즘 오늘 알고리즘 문제는 중앙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큰 값, 왼쪽으로 더 큰 값으로 나뉜 배열에서 target 으로 인자를 받아 그 배열에서 인덱스 번호를 return 하는 알고리즘이었다. 이진 탐색을 사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알고리즘을 구현하라는 문제가 있었고, 뭔가 오늘은 문제가 잘 풀리지 않아서 시간안에 풀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레퍼런스 코드를 보며 좀 더 숙지를 하게 되었다. 아직 멀었다. 좀 더 공부하자. 3) 느낀 점 실무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의 서버 구현은 처음.. 2021. 5. 31.
TIL 3일차 1) 오늘 배운 내용 오늘은 어제와 그제 배운 서버관련된 내용을 Pair 활동을 진행하면서 복습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사실 이번 Sprint 는 UrClass 를 보며 이해하는것도 이해하는거였지만, 공식문서를 많이 찾아가면서 검색을 이용해서 구현을 많이 한 것같다. 처음 접해보는 서버쪽이어서 웹상에서 Network 탭을 이용해 데이터를 받아오는 문서를 읽는 법도 익혔고, PostMan 을 사용해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해 Request 하는 법도 익혔다. 그리고 React Router 와 express 를 이용해 서버 구축하는 법도 알게되었다. 확실히 최근에 사용하는 방법들( 서버를 express 로 구축하는 방법 )과 레거시( http 로 바로 구축하는 방법 )방법 등을 학습하고 두 가지의 사용법이 .. 2021. 5. 28.
TIL 2일차 오늘은 알고리즘 문제 중 '부분집합' 에 관련된 문제를 풀었다. 자료형은 문자열을 사용하였으며 저번에 풀어보았던 경우의 수를 푸는 순열 방식을 이용해서 풀면 될 것 같았다. 근데 중복 제거를 까먹고 안했었고, 경우의 수 중에서 중복되는 값들이 들어가는 것을 해결하지 못해 헤메었다. 레퍼런스를 보고 풀어보다가 다시 한 번 재귀함수에 대해 복습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예전에 재귀함수에 대해 제대로 찾아보지 않았었는데 맨 처음으로 가장 끝 순서의 함수를 먼저 return 하는 것이 생각해보면 당연한데 눈으로 보고 풀려다가 혼났다. 역시 손으로도 써보고, 검색도 좀 더 생활화하면서 풀어봐야겠다. 아쉽다 오늘은 제대로 풀어내지 못했다. 오늘은 어제 이어서 pair 분과 React 활동을 이어서 Part-2 를 .. 2021. 5. 26.